-
특수학교 확대, 어떻게 생각하세요?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카테고리 없음 2022. 4. 23. 19:09728x90
교육현장에서 특수학교 확대를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특수교육 대상자가 늘어난 만큼 더 나은 환경을 위해 특수학교 확대가 필요하다는 입장과 장애 학생의 사회화와 사회진출을 방해할 수 있다는 반대 의견이 맞서고 있기 때문인데 일각에선 특수학교 확대보다 인식개선이 우선이라는 지적도 나온다.(관련기사)
교육현장의 학령인구는 계속해서 줄고 있지만 특수교육대상자는 오히려 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19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특수교육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내 특수교육대상자는 지난 2011년 8만 2665명에서 지난해 9만 8154명으로 18.7% 증가했다. 행안부와 교육부가 특수교육 대상자 수를 데이터화해 올해 특수교육 대상자 수를 예측한 결과 올해도 특수교육 대상자는 전국 기준으로 전년 대비 1483명이 증가할 전망이다. 충청권에선 2명이 줄어드는 대전을 제외하고 세종 58명, 충남 70명 등 128명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특수교육 대상 학생 수가 증가하자 교육현장에서는 자연스레 특수학교 신설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반 학교에서 따돌림, 차별 등의 문제와 학습 부진으로 인한 자존감 하락 등이 걱정인 데다 더 나은 환경에서 교육받길 바라는 부모의 마음에서다.
김 모(대전 서구) 씨는 “아무래도 일반 학교에 있으면 비장애 학생들과의 어울림 문제나 학습격차 등으로 자존감이 떨어질까 걱정하기 마련”이라며 “장애 학생 수가 늘었는데 특수학교도 그만큼 확대돼야 아이들이 좋은 환경에서 교육받을 수 있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특수학교 신설이 명쾌한 해답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오히려 장애 학생의 차별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대전 A 초등학교 교사는 “장애가 심한 학생들은 특수학교로 보내는 것이 맞지만 장애 증상이 경미한 경우 일반 학교 특수학급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것이 장애 학생의 사회화와 사회진출을 돕는 것”이라며 “일반 사람들하고 어울릴 기회도 많아야 하는데 일찍부터 분리하면 그 기회를 사전에 차단하는 꼴이며 특수학교 확대만이 답이 아니라 몰려 있는 것이 되레 학생들 간의 이질감을 가중시켜 차별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당국의 시선도 비슷하다. 특수학교 확대보단 일반 학교에서의 장애인 인권교육 등을 통한 인식 개선이 우선이라는 거다. 대전특수교육원 관계자는 “특수교육원에서도 찾아가는 인권교육, 장애인 이해교육 등 인식개선 교육을 매년 실시하고 장애·비장애 학생이 어울려 지낼 수 있도록 장애학생인권동아리를 운영 중”이라며 “특수학교 확대보단 일반 학교에서 장애인인권교육이 먼저 이뤄져야 하고 장애에 대한 의식을 바로 세워 편견과 차별을 없애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