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주 52시간 최저시급제 비현실적?
    카테고리 없음 2021. 12. 1. 18:29
    728x90

    이틀째 충청 지역을 방문 중인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30일 중소기업의 주 52시간제 적용 문제 등과 관련해 “탁상공론으로 만든 비현실적 제도는 철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출처 : 연합뉴스)

    윤 후보는 지난 30일 충북 청주의 2차전지 기업을 방문한 자리에서 기업인들이 주 52시간제로 인한 어려움을 토로하자 “정부가 경영 현실을 모르고 탁상공론으로 만든 최저 시급제나 주 52시간제라는 제도가 비현실적이고 고통스럽다는 말씀으로 받아들였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윤 후보는 “정부가 마음대로 하는 것은 확실하게 지양하도록 하겠다”며 “내 모토는 ‘어떤 일이든지 이해 관계자에게 물어보고 해라’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김은혜 선대위 대변인은 이날 자정 무렵 입장문을 내고 “윤 후보의 오늘 발언은 중소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과정에서 정책대상자의 의견을 듣지 않는 일방통행식 탁상공론 제도를 차기 정부에서 지양해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라며 “다음 정부에선 현장과 괴리된 여러 제도를 철폐해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여드린 것 뿐”이라고 했다. 그는 “‘52시간제를 철폐하겠다’는 말은 문단을 하나의 문장으로 임의 압축한 것일 뿐 후보가 직접 발언한 취지와 사실관계가 다르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공동선대위원장은 1일 “주52시간제와 최저임금을 철폐하겠다며 연이틀 무지한 반노동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며 밝혔다. 그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글에서 “윤 후보가 정권을 잡으면 과로사회로 가는 문이 열린다”며 “그야말로 가정이 무너지고 사회가 무너질 것”이라고 적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도 이날 ‘뉴스토마토’ 유튜브 채널인 <노영희의 뉴스인사이다> 전화 인터뷰에서 “(주52시간제는) 근로와 사람의 삶이라고 하는 양쪽 영역을 병행할 수 있는 사회적 합의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말했다.



    윤 후보는 지난 7월에도 주52시간제를 비판하며 “주120시간이라도 일할 수 있어야 한다”는 발언으로 비판을 받았다. 당시 윤 후보는 현장의 고충을 전달한 것이지 주120시간씩 일하자는 것은 아니라는 취지로 해명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