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사실상 사업 폐지 수순으로 예산을 대폭 삭감하는 사업은 직접일자리(13개)와 고용장려금(6개) 분야 중심으로 선정됐다. 이 중 직접일자리는 ‘단기 알바’를 양산해 고용시장 회복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직접일자리의 대부분이 빈 강의실 불 끄기, 금연구역 지킴이, 전통시장 환경미화원 등 질 낮은 노인용 일자리로,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는 거리가 멀다는 이유에서다.
문 정부가 지난해 24개 부처 228개 일자리사업에 쏟아부은 예산은 추경 예산까지 더해 35조2000억원 규모다. 일자리사업 참여자만 총 776만5000명에 달한다. 지난해 직접일자리 사업을 통해 101만1000명이 고용됐고, 이 가운데 약 83%인 83만8000명이 65세 이상 노인이었다. 이들의 평균연령은 75.1세다.
(출처 : 한국경제)
이에 고용부는 노동시장 여건을 고려해 일자리사업을 대폭 개편할 방침이다. 직접일자리 7개를 포함한 11개 사업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고성과 사업 위주의 재편에 나선다. 반도체 등 신산업 분야의 적시 인력 공급을 위해 협업예산을 편성하고, 직무전환 및 전직 지원 관련 특화훈련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데이터에 기반한 성과 평가를 더 철저히 실시해 민간 주도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동시장 환경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